EASY_한국의 역사/근현대사4 김영삼(문민정부), 김대중(국민의정부) 정부 이승만(1~3대)→윤보선(4대)→박정희(5~9대)→최규하(10대)→전두환(11~12대)→노태우(13대)→김영삼(14대)→김대중(15대)→노무현(16대)→이명박(17대)→박근혜(18대)→문재인(19대) 민간인 출신의 김영삼 대통령은 문민정부를 이루었다. (1993.02~1998.02) 1. 1993년 1) 대통령이 되면서 군부정치를 끝내고자 "문민정부" 수립 2) 자신의 재산 공개를 시작으로 "금융실명제" 실시, (공직자 재산공개) 3) 우리가 대학을 올수 있게 시스템을 갖춘 시기이기도 하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도입 2. UR(우루과이 라운드) 협상타결 (94') → WTO(세계무역기구) 출범을 통해 농산물 수입개방(95') → 선진국을 상징하는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96')→ 역.. 2020. 7. 9. 전두환(6월민주항쟁), 노태우 정부(범죄와의전쟁) I. 전두환 정부(제 5공화국) 1. 대한민국 제 11대 ~12대 대통령 2. 1) 제 11대 대통령 : 통일 주체 국민회의에서 선출 (1980.09~1981) 2) 제 12대 대통령 : 대통령 선거 인단에 의한 간접 선거로 선출 (1981~1988.02) 3. 업적 1) 우민화 정책, 유화정책 : 전두환 대통령은 겉으로는 정의상회를 구현하고, 복지국가를 건설하고자 하였으나, 우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유화정책"을 추진하였고, 이에 따라 컬러 TV 보급 및 스포츠 분야를 발전시켰다. 2) 자유주의 실천 : 두발규제 및 야간통행금지를 해제 시키고 교복 자율화 및 해외여향 자유화를 추진하였다. 3) 경제발전 : 국제 무역수지흑자를 달성 하였다. 여기까지 좋았으나, 전두환 대통령 또한 장기집권을 바라보며, 개한.. 2020. 7. 8. 박정희 정부 (유신체제, 12.12 사태, 서울의 봄) 제 1 공화국 : 이승만 정부 제 2 공화국 : 장면 내각 (민주화 운동,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 제 3,4 공화국 : 박정희 정부 1961년 5월, 1) 이당시 박정희는 군대 소장 이었으며, 중앙 정보부를 창설한 김종필 중령과 함께 쿠데타의 주역이 되었다. 반공을 목표로, 모든 정당과 사회 단체를 해산시켰으며, 2) 장면내각에서 수립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 되었다. (1차 : 1962~1966년) 3) 물가가 안정됨에 따라 화폐의 가치가 높아졌다. 이런와중에, 중앙 정보부는 개헌(5차)을 통해 의원 내각제-> 대통령 중심제(직선제)로 바뀌고, 양원제던 의회가 단원제로 바뀌게 된다. 이를 통해 군대 소속 박정희는 5대 대통령(민주 공화당)으로 당선이 된다. 박정희 대통령의 업적 (대한민국 5.. 2020. 7. 7. 이승만정부 (북한정권 수립, 6.25 전쟁, 4.19 혁명) 이승만 (1875.03.26 ~1965.07.19)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대통령이자, 대한민국의 1~3대 대통령 UN 총회에서 인구에 비례하여 남북 동시선거를 진행하고자 결정하였으나, 소련.북한의 반대로 남한에서 단독선거가 결정되었다. 1. 5.10 총선거 (1948.05.10) 이에 김구는 평화통일, 통일정부 수립을 주장하며 반대를 하였으나, 제주4.3사건이 실패로 돌아가며, 이승만(남한 단독선거 찬성)에 의한 5.10 총선거가 실시 되었다. 이를통해 임기 2년의 제헌국회가 구성되었다. 2. 이승만 정부 수립 (1948.05.18) ▒ 5.10 총선거(1948년) ⇒ 제헌 헌법 공포(1948.07.17) ⇒ 대한민국 정부 수립(1948.08.15) 제헌국회를 통해 이승만이 대통령으로 선출이 되었으며.. 2020. 7.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