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ASY_한국의 역사/근현대사

박정희 정부 (유신체제, 12.12 사태, 서울의 봄)

by 밍굥이네~ 2020. 7. 7.

제 1 공화국 : 이승만 정부

제 2 공화국 : 장면 내각 (민주화 운동,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

제 3,4 공화국 : 박정희 정부

 

1961년 5월, 

1) 이당시 박정희는 군대 소장 이었으며, 중앙 정보부를 창설한 김종필 중령과 함께 쿠데타의 주역이 되었다. 

반공을 목표로, 모든 정당과 사회 단체를 해산시켰으며,

 

2) 장면내각에서 수립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 되었다. (1차 : 1962~1966년)

 

3) 물가가 안정됨에 따라 화폐의 가치가 높아졌다. 

 

이런와중에, 중앙 정보부는 개헌(5차)을 통해 의원 내각제-> 대통령 중심제(직선제)로 바뀌고, 양원제던 의회가 단원제로 바뀌게 된다.  이를 통해 군대 소속 박정희는 5대 대통령(민주 공화당)으로 당선이 된다.


박정희 대통령의 업적 (대한민국 5~9대 대통령)

1. 5~6대 대통령 (제3공화국)

(1)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추진 

 1) 한일 회담 추진 

   ㄱ. 경제개발을 위한 자금이 필요했지만, 미국과 유럽으로부터 지원을 기대할 수 없어. 일본 자본 도입을 강력 추진

   ㄴ. 무상 3억달러, 유상 2억달러, 차관1억달러 (독립축하금 명목)

       ↔ 반대시위 (6.3 시위)

 

 

2. 7~9대 대통령 (1971~1979.10) (제 4공화국)

(1) 유신체제 (박정희의 장기집권, 대통령에게 강력한 통치권 부여)

 1) 닉슨독트린 선언( 아시아의 안보를 더이상 미국이 보장해줄 수 없다.)과 주한미군의 철수에 따라 박정희 정부의 위기감 증가. 

 2)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안보와 사회질서를 내세우며 유신체제(1972.10)선포

 3) 대통령의 임기를 4년 -> 6년

 4) 대통령이 국회의원의 1/3 추천 (유신정우회)

 5) 긴급조치권 발동 (대통령 일에 반대하는 사람 다 잡아감 !)

 6) 통일 주체 국민회의 (대통령이 뽑아논 국회의원들로구성) 에서 대통령 선거 : 8대, 9대 대통령 당선

 

=> 부산, 마산 등에서 유신체제에 밴대하는 시위 발생 (부.마 민주항쟁 1979.10) => 10.26 사태 (박정희 대통령 피살)

 


이후, 전두환과 노태우 등이 이끌던 군대내에 사조직 중심의 신군부세력이 일으킨 군사 반란사건 인 12.12사태가 

발생하였고, 

 

"신군부 퇴진", "유신철폐"를 외치던 "서울의 봄(1979.10.26~1980.05.17" 시절을 거쳐

 

1980.05.18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5.18 민주화 운동을 전두환 세력은 언론에 "광주 폭동 사태!" 라며 오보를 내지만, 

[그림출처 : 네이버]

이에 맞서 광주 시민들은 "시민군" 이라는 부대를 만들어 대항을 한다.

하지만, 신군부 세력에 의해 무자비하게 진압되고 말았다. 

 

 

이렇게 대한민국의 민주화 열기는 뜨거워 졌고, 전두환 정권이 시작되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