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ASY_한국의 역사/근현대사

전두환(6월민주항쟁), 노태우 정부(범죄와의전쟁)

by 밍굥이네~ 2020. 7. 8.

I. 전두환 정부(제 5공화국)

1. 대한민국 제 11대 ~12대 대통령

2. 1) 제 11대 대통령 : 통일 주체 국민회의에서 선출 (1980.09~1981)

   2) 제 12대 대통령 :  대통령 선거 인단에 의한 간접 선거로 선출 (1981~1988.02)

 

 

 

 

 

3. 업적 

 1) 우민화 정책, 유화정책

   : 전두환 대통령은 겉으로는 정의상회를 구현하고, 복지국가를 건설하고자 하였으나, 

우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유화정책"을 추진하였고, 이에 따라 컬러 TV 보급 및 스포츠 분야를 발전시켰다. 

 2) 자유주의 실천

   : 두발규제 및 야간통행금지를 해제 시키고 교복 자율화 및 해외여향 자유화를 추진하였다. 

 3) 경제발전

  : 국제 무역수지흑자를 달성 하였다. 

 

여기까지 좋았으나,

전두환 대통령 또한 장기집권을 바라보며, 개한을 통해 간섭선거를 진행하고자 한다. (4.13 호헌 조치)

하지만, 국민들은 이에 맞서 1천만 서명운동을 실시 하였고, 이때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1987.1)", "이한열사망사건 (1987.06.09)" 이 발생한다.  (영화 1987이 바로 6월 민주항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이다. )

영화 1987에서 이한열 역할 : 강동원

이 결과, 6.29 민주화 선언을 하게 되고, 대통령 직선제가 됨에 따라 

13대 대통령 노태우가 당선되게 된다.

 

1987년대 대학생들, 국민들은 민주화를 위해 정부와 맞서 싸웠고, 이러한 노력으로 민주화가 발전하게 된 것에 

감사하다. : ) 길을 잃지 않는 민주화가 되어가면 좋겠다.


II. 노태우 정부(제 6공화국)

 

1. 대한민국 제 13대 대통령 (1987.12)

2. 전두환 대통령의 장기집권을 반대하고자 발생한 6월 민주항쟁으로 인해, 대통령 직선제가 되면서 

   노태우 대통령이 제 13대 대통령으로 당선이 되었다.

 

 

 

 

3. 노태우 정부 당시, "여소야대"국회를 이루며, 야당이 커진 상황이었다. 

이는 야당의 종류가 다양해졌기 때문이며, (통일민주당, 김영삼/ 신민주 공화당, 김종필/ 평화민주당, 김대중)

이 3당을 통합하여 힘을 키우고나, 다음대통령 자리를 내어준다며 여당으로 흡수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평화민주당(김대중)은 합류 하지 않았고, 나머지 두당은 흡수가 되었다. 

 

4. 업적

 1) 88올림픽의 성공적 개최

 2) 소련, 중국등과 북방외교 성공

 3) 서해안 고속도로 건설

 4) 인천 국제 공항 건설

 5) 범죄와의 전쟁 선포(1990.10.13)

영화 "범죄와의 전쟁" 처럼, 범죄와 폭력에 대해 전쟁을 선포한다.(1990.10.13)

 

통일민주당을 여당으로 흡수 시키면서, 14대 대통령으로 김영삼이 당선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