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인2

1. 조선시대) 붕당정치 (3)_조선의 "티키타카", 예송논쟁 16C 후반, 이조전랑 직책관련하여 "사림"=> 동인 과 서인으로 분열되고, 정여립 모반사건, 건저의 사건으로 "동인"=> 북인 과 남인으로 분열이 됩니다. (하기 링크 참조해주세요 ~:) 1. 조선시대) 붕당정치 (1)_동인과 서인의 등장 1. 조선시대) 붕당정치 (1)_동인과 서인의 등장 다음엔, "동인"과 "서인"이 또 어떻게 나뉘게 되는지, 어떤 사건으로 어떤 모함으로 나뉘게 되는지 정리해볼게요 ! :) dalcuore.tistory.com 1. 조선시대) 붕당정치 (2)_동인의 분열, 북인과 남인의 등장 1. 조선시대) 붕당정치 (2)_동인의 분열, 북인과 남인의 등장 16C 후반 선조, "이조전랑"이란 관직때문에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신진사림파인 동인과 기성사림파인 서인으.. 2020. 2. 23.
1. 조선시대) 붕당정치 (2)_동인의 분열, 북인과 남인의 등장 16C 후반 선조, "이조전랑"이란 관직때문에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신진사림파인 동인과 기성사림파인 서인으로 말이에요. ("1. 조선시대) 붕당정치 (1)_동인과 서인의 등장" 참고) 이후 동인은 또 다시 북인과 남인으로 나뉘게 됩니다. 1. 시동을 건 사건 : 정여립 모반사건(1589년) 謀 꾀 (모) 叛 배반할 (반) 정여립의 정치적 반대활동, 정확히 말하면 배신활동이 발생한 것입니다. (1) 정여립의 탈당 (서인->동인) 정여립은 율곡 이이의 제자로 서인에서 활동을 하였으나, 갑자기 여당에 들어가고 싶었던 정여립은 자신의 당(서인, 야당)을 버리고 여당인 동인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들어가기만 하면 문제가 되지 않았겠지요, (2) 정여립의 대동계 설립 (모반단체) 정여립은 자신의.. 2020. 2. 17.